치매환자 대처법12 치매의 이상행동증상 (BPSD)와 돌봄시 주의사항 무료치매검사 하기 오늘 보지않기 목차 치매의 이상행동증상 (BPSD)와 돌봄시 주의사항 1. 건망, 기억력 저하 치매 환자의 이상 행동을 고치려 하기 보다는 받아들이고 일상생활을 보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큰 달력을 이용하여 일정을 써서 잘 보이도록 한다거나 포스트잇등 메모지를 활용하면 좋습니다. 요리할 때는 불을 켜놓고 잊어버려 화재의 위험이 있으므로 곁에서 지켜보야 합니다. 요리나 청소등의 집안일은 치매증상이 나빠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기능이 있으므로 환자 본인이 할 수 있을 정도까지는 대신해주는 것보다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도둑망상치매환자에게는 불안에 사로잡혀 지갑, 통장등 귀중품을 감추거나 감춘곳을 잊어버리고 주위사람들이 훔쳐갔다고 의심하는 증상이 .. 2023. 11. 4. 다양한 치매 증상들과 마음돌봄의 중요성 목차 다양한 치매 증상들과 마음돌봄의 중요성 치매는 중핵증상 뿐만 아니라 치매가 일으키는 주변증상, 이른바 BPS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Dementia, 치매의 행동심리증상) 로 인해 환자 본인과 돌보는 사람 보두 힘들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매 환자 본인은 지금껏 스스로 했던 일을 할 수 없게 됨녀서 자율, 자립도가 크게 떨어지고 자존감을 상실하게 됩니다. BPSD는 이러한 갑작스러운 처지의 변화를 이기지 못하고 강한 불안을 밖으로 표현하는 행동이므로, 환자를 질타하거나 혼내거나 설득하기 보다는 충분히 이해해주면서, 환자가 불안이나 불쾌를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매 환자.. 2023. 11. 4. 요양보호서비스와 의사소통, 유형, 주의할 점 목차 1. 요양보호서비스와 의사소통 요양보호서비스는 대상자와 대상자의 가족들과의 신뢰가 중요하므로 요양보호사는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은 개인 간의 관계를 구축하고 신뢰를 구축하는 기반이 됩니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 아이디어 및 감정을 공유하고 이해와 공감을 형성합니다. 적극적으로 듣고 자신을 명확하게 표현함으로써 개인은 다른 사람과 더 깊은 관계를 구축하고 신뢰를 쌓을 수 있습니다. 요양보호서비스의 대상자의 경우 노화나 질병으로 인해 적극적으로 의사표현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그렇기에 더욱더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없으면 오해가 생겨 오해, 갈등 및 긴장된 관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갈등과 불일치는 모든 인간관계에서 피할 수 없습니다. 요양보호.. 2023. 10. 8. 치매환자 옷 갈아입기 거부, 어려움, 목욕거부 원인 및 대처법 목차 1. 치매환자 문제행동: 옷 갈아입기 거부 원인 및 돌봄시 대처법원인:일반적으로 치매 환자는 변화에 저항하고 익숙한 일상이나 옷에서 편안과 안정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옷을 갈아입는 것은 익숙함과 안정감을 방해하므로 환자는 저항을 하게 됩니다. 또한 고령의 치매 환자분의 경우 피부 자극, 관절 통증 또는 감각 민감성등으로 인해 옷을 갈아입는 동안 불편함이나 통증을 느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옷을 갈아입는 행위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고 화를 내게 됩니다. 특히 치매 환자의 경우 옷을 갈아입는 행위를 강요받으면 기존의 안정감을 빼앗기는 것을 넘어서 자율성을 상실한 것으로 인식되어 환자에게 좌절감을 주고 그로 인해 공격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치매환자의 경.. 2023. 7. 4. 치매환자 공간혼동, 소유혼동, 의심증상 원인 및 대응법 목차 1. 치매 환자 공간혼동 원인 및 돌봄시 대응법치매 환자는 기억력 감퇴 및 인지 저하로 자신의 방을 못 찾거나 익숙한 일상공간에서 혼동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이는 기억, 공간 인식 저하때문입니다. 그로 인해 집안의 익숙한 장소를 식별하고 찾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일부 치매 환자는 시각적 인식 문제를 경험할 수 있어 다른 방을 구별하거나 시각적 차이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불안감, 방향 감각 상실 또는 심리적 동요는 혼란을 악화시키고 자신의 방을 인식하기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때로는 재배치된 가구와 같은 물리적 환경 변화로 친숙한 표식을 방해하여 혼란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치매 환자가 익숙한 일상공간에서 자신.. 2023. 7. 2. 노인 치매환자 배회유형, 대처법, 실종예방조치 목차 치매환자 배회 유형 배회는 사람이 목적 없이 헤매거나 이동하는 행동을 가리킵니다. 주로 어딘가를 찾으려는 욕구나 목적이 없거나 혼동된 상태에서 나타나는 행동입니다. 특히 치매, 정신 발달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의 조건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자주 관찰되며 치매 환자가 보이는 배회 증상은 다음과 같은 양상을 보입니다. 인지 기능 저하, 목적 없는 배회: 치매로 인해 인지 기능이 저하되면, 환자는 주변 환경을 인식하거나 목적지를 기억하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환자는 목적 없이 배회하거나 주변을 헤매며 혼란스러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기억 손실, 장소의 혼동: 치매로 인해 환자는 과거의 정보나 경험을 기억하는 능력이 저하됩니.. 2023. 5. 29. 이전 1 2 다음